사회성 발달 단계는 아동이 성장하면서 또래 및 사회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이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설명하는 틀이며, 특히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사회성 평가 및 개입 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 대표적으로는 Parten의 놀이 발달 단계와 사회적 행동 중심의 발달 모델이 있습니다.

--
Parten의 사회적 놀이 발달 6단계 (1932)
1. 비참여적 놀이 (Unoccupied Play)
의미 없이 움직이거나 주위를 관찰함. 놀이에 명확한 목적 없음.
예: 혼자 주변을 돌아다니며 장난감 만지작거리기
2. 방관자 놀이 (Onlooker Play)
다른 아이들 놀이를 관찰하지만 직접 참여하지 않음.
예: 친구들 노는 것을 옆에서 보기만 함
3. 단독 놀이 (Solitary Play)
다른 아이들과 상호작용 없이 혼자 놀이함.
예: 혼자 블록 쌓기
4. 병행 놀이 (Parallel Play)
다른 아이 옆에서 같은 장난감을 사용하지만 상호작용은 없음.
예: 같은 테이블에서 각각 블록 놀이하되 말은 거의 없음
5. 연합 놀이 (Associative Play)
약간의 상호작용은 있으나 협동 목표는 없음.
예: 함께 색칠하며 대화는 하지만 결과물은 따로따로
6. 협동 놀이 (Cooperative Play)
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역할 나누어 놀이함.
예: 역할극, 함께 집짓기 등
---
사회성 발달 단계 (일반적 연령 기반)
---
자폐 아동의 경우 이 발달 단계가 지연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불균형을 보이기 때문에, 치료적 개입 시 아이가 현재 어느 단계에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