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
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 자체를 치료하는 약은 없지만, 동반 증상(예: 과잉행동, 불안, 공격성, 강박 행동 등)을 완화하는 약물이 사용됩니다.
---
1. 주요 약물 및 용도
🔹 1) 항정신병 약물 (비정형 항정신병제)
✔ 사용 목적: 공격성, 자해 행동, 심한 짜증 조절
✔ 대표적인 약물:
리스페리돈(Risperidone, 리스페달) ⭕ FDA 승인
아리피프라졸(Aripiprazole, 아빌리파이) ⭕ FDA 승인
✔ 특징:
미국 FDA에서 자폐 아동의 심한 짜증(분노 발작, 공격성, 자해 행동) 치료용으로 승인.
뇌의 도파민과 세로토닌 조절을 통해 충동성과 감정 조절을 돕는 역할.
부작용: 체중 증가, 졸음, 호르몬 변화(특히 프로락틴 증가).
---
🔹 2) ADHD 치료제 (각성제 및 비각성제)
✔ 사용 목적: 과잉행동, 충동 조절, 집중력 향상
✔ 대표적인 약물:
메틸페니데이트(Methylphenidate, 콘서타, 메디키넷, 리탈린)
아토목세틴(Atomoxetine, 스트라테라)
✔ 특징:
자폐 아동 중 ADHD(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) 증상이 있는 경우 처방.
메틸페니데이트(리탈린, 콘서타): 빠른 효과, 도파민 증가.
아토목세틴(스트라테라): 비각성제, 서서히 효과 발현, 장기 사용 가능.
부작용: 식욕 감소, 불면증, 심장 두근거림.
---
🔹 3) 항우울제 (SSRI 계열)
✔ 사용 목적: 불안, 강박 행동, 감각 과민 반응 완화
✔ 대표적인 약물:
플루옥세틴(Fluoxetine, 프로작)
설트랄린(Sertraline, 졸로프트)
✔ 특징:
세로토닌을 조절해 자폐 아동의 강박 행동 및 불안 감소 효과.
플루옥세틴(프로작): 성인 및 청소년에서 강박 행동 감소 효과 입증됨.
설트랄린(졸로프트): 불안 감소 효과.
부작용: 메스꺼움, 졸음, 감정 둔화 가능.
---
🔹 4) 기분 안정제 (항경련제)
✔ 사용 목적: 심한 감정 기복, 충동적 행동 조절
✔ 대표적인 약물:
발프로산(Valproate, 데파코트)
카바마제핀(Carbamazepine, 테그레톨)
✔ 특징:
원래 간질 치료제지만, 자폐 아동의 감정 조절에도 사용.
심한 짜증, 충동적 행동, 감정 기복을 줄이는 데 도움.
부작용: 졸음, 체중 증가, 간 기능 이상 가능.
---
🔹 5) 수면제
✔ 사용 목적: 불면증 개선, 수면 패턴 조절
✔ 대표적인 약물:
멜라토닌(Melatonin) (비처방 보충제)
클로니딘(Clonidine, 카타프레스)
✔ 특징:
자폐 아동은 멜라토닌 분비 이상으로 불면증이 흔함.
멜라토닌: 자연 유래 수면 호르몬 보충제로 안전성이 높음.
클로니딘: ADHD 증상이 동반된 경우에도 처방 가능.
부작용: 낮 동안 졸림, 혈압 저하 가능.
---
2. 약물 치료 시 주의할 점
✅ 자폐 증상을 모두 치료하는 약은 없음 → 증상에 맞춰 개별적으로 처방
✅ 약물 복용 전 발달 전문의 및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 필수
✅ 부작용 모니터링 필수 → 졸음, 체중 증가, 위장 문제 등 발생 가능
✅ 비약물 치료(ESDM, ABA, 언어치료 등)와 함께 진행해야 효과적
---
3. 약물 외의 치료 방법 (비약물 치료 병행 필요)
✔ ESDM (덴버 조기 개입 모델) → 놀이 기반 사회성 발달 치료
✔ ABA (응용행동분석 치료) → 행동 수정 및 학습 촉진
✔ 언어치료 & 작업치료 → 의사소통 및 일상생활 기술 향상
✔ 감각통합치료 → 감각 과민성 완화
✅ 약물은 증상 완화를 위한 보조 수단이며, 조기 개입 치료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